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결혼 이야기 (Marriage Story)_2019
    감상:이해하며즐겨하는 2020. 1. 28. 21:41

     


    출처: 네이버 영화

     

    **결말 스포 없음**

     

     

    출처: 네이버 영화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LA에서 살면서 영화배우로 성공할 수 있었던 니콜(스칼렛 요한슨),

    연극배우이자 감독으로 일하던 찰리(아담 드라이버).

    영화의 시작은 찰리의 더빙으로 니콜의 좋은 점을 이야기한다.

    이어서 니콜은 찰리의 좋은 점을 이야기한다.

    서로의 장점을 이야기하는 장면이 끝나자

    두 사람은 왜인지 이혼 때문에 상담을 하고 있었다.

     

    출처: 네이버 영화 스틸컷

     

    이혼을 결심한 두 사람.

    두 사람이 함께 만들었던 연극이 폐막하고

    집으로 돌아와 멀찍이 서서

    찰리는 니콜의 연기에 대한 평가를 해준다.

     

     

    니콜: 난 무대에선 못 울잖아.

    당신은 위선 떠는 걸 싫어하고.

     

    라고 말하며 뒤돌아 방으로 들어가던 니콜은

    무대에서 내려온 배우처럼 눈물을 쏟아낸다.

    이혼 절차를 준비하는 과정에서

    두 사람은 원만하게 끝내고 싶었지만

    니콜은 주변의 권유로 변호사를 선임한다.

    출처: 네이버 영화 스틸컷

     

    그녀의 담당 변호사인 노라는 니콜과의 첫 만남에서

    상담을 하던 도중 찰리에 대해서 묻고

    니콜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는 이야기를 시작한다.

    노라: 지금 어떤 상황인 거예요?

    니콜: 명확하게 말하긴 힘들어요. 차라리.. 그냥 사랑이 식었다면 간단하죠.

    눈물을 보이다가 찰리와 처음 만난 날을 떠올리더니

    금세 웃어 보이는 니콜.

    니콜: 내 일부는 죽은 게 아니라 잠들어 있었어요.

    그리고 대화가 섹스보다 좋았죠.

    그와 살 때는 살아있는 느낌이었어요.

     

    누군가를 만나서 내가 살아있음을 느낀다는 게

    어떤 느낌인지 모를 때가 있었다.

    지금은 내게 그런 사람이 있어서일까?

    그녀가 이야기하는 게 어떤 기분인지 알 것 같았다.

    그런 사람과 결혼을 하고 아이가 생기고

    같은 극단에서 찰리는 연출을 하고

    니콜은 연기를 하고

    항상 좋을 줄 알았던 생활에 금이 가기 시작했다.

    니콜: 극단에서 연기를 하며 나는 잊혀지고 작아졌어요.

    극단이 호평받으며 찰리가 주목받았죠.

    생각해보니.. 내가 살아난 게 아니라

     찰리에게 생기를 더해준 거였어요.

     

    찰리는 니콜의 전화번호도 외우지 못했고

    배신감을 느낄 행동도 했다.

    니콜의 마음이 어떨지 이해가 됐다.

    출처: 네이버 영화 스틸컷

     

    내가 널 더 많이 사랑해서

    난 이만큼을 포기했어

    난 계속 이야기했는데

    들어주지 않았잖아

    명확하고 뚜렷한 이유가 없는 일들로,

    진심인지 아닌지 모를 말들을 늘어놓는다.

    두 사람은 법정에 나란히 앉아있다.

    일을 키우기 싫었지만

    따지고 따지고 따지다 보니 커져버렸다.

    출처: 네이버 영화 스틸컷

     

    영화의 초반에

    서로에 대한 장점을 이야기했던

    서로에게 전해지지 못했던 편지 같은 글이

    아들 헨리를 통해 전해진다.

    두 사람은 사랑했다.

    진심으로 서로를 응원했고 노력했다.

   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일이었다.

    영화의 마지막 장면까지 보면

    이 영화는 우울하거나 슬프기만 하지 않다.

    따뜻하기도 하고 웃음이 나기도 한다.

    +

    계속 어벤져스에서만 보던 스칼렛 요한슨을 보니 반가웠다.

    그리고 그녀의 숏컷은 정말 사랑스러웠다.

     

    반응형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